자궁내막증이란?
생리를 할 때는 떨어져 나가고 새로운 생리 주기가 시작되면 다시 새롭게 만들어지는 자궁내막은 자궁의 가장 안쪽에 존재하는 조직으로 임신이 되면 태반이 자리를 잡는 터입니다. 이러한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내에 존재하지 않고 다른 곳에 존재할 때 이를 자궁 내막증이라 합니다.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의 7~10%정도에서 발견되며 생리통을 포함한 골반통이나 요통을 일으키고 생식 능력을 떨어뜨려 불임을 야기 시키기도 하며 자연유산과 관련이 있다고도 합니다.
자궁내막증은 에스트로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자궁 뒤쪽, 자궁과 직장 사이의 공간에 가장 잘 생기며 그밖에 난소, 자궁의 표면, 자궁을 차지하는 광인대 등에도 잘생깁니다.
즉, 대부분이 골반 내에 생기는 병입니다. 하지만 드물게는 골반 외에 맹장, 직장, 폐, 뇌, 또는 수술 자국을 포함한 피부 등에도 생기기도 하며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이식설과 면역설이 가장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에 관한 설
생리혈이 골반 내로 거꾸로 흘러 들어 자궁 내막증이 생긴다는 ‘이식설’
여성의 70~90%는 월경시에 월경혈이 역류합니다.
다시 말하면 월경혈이 질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될 뿐 아니라 일부가 나팔관을 통해 골반내로 들어간다는 것인데 이때 자궁내막 조직이 월경혈과 함께 골반내로 흘러들어 간 뒤 골반에 자궁 내막증이 생기게 된다는 가설이 ‘이식설’입니다.
대부분의 여성이 월경혈의 역류를 경험하지만 모든 여성이 자궁 내막증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는데 아마도 면역 체계의 이상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자궁 내막증이 생긴다는 ‘면역설’
면역 작용의 일환으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이라는 물질은 정충의 운동성을 저하시키기도 하고 자궁 내막 세포가 골반 내에 잘 이식되도록 도와주기도 합니다.
면역설은 간단히 말해 면역 체계에 이상이 생기면 사이토카인이라는 물질이 분비되고 바로 이 사이토카인의 작용으로 골반 내로 역류된 월경혈에 섞여 있는 자궁 내막 세포가 골반 내에 이식되면서 자궁 내막증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자궁내막증의 증상
자궁내막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생리통을 포함한 골반통이나 요통입니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는데, 자궁내막증으로 인한 생리통은 생리가 나오기 전에 시작되며, 생리기간 동안 내내 지속되고 초경 이후 한 번도 빠짐없이 생리통을 겪는 경우도 있으며, 대개 하복부 양쪽에 통증이 오는데, 염증이 주위조직을 파괴해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식설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원인으로 자궁내막증이 생겼다면, 이식부위에서 부분적인 염증반응이 일어나며, 깊이 이식되었을 때는 주위 조직이 파괴되는데, 이것이 통증의 주된 원인이며, 그 밖에 주변 조직과의 유착, 조직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섬유화 현상, 월경혈이 고였다가 흡수되면서 주변 조직을 끌어당기는 경우 등에도 통증이 발생합니다.
자궁내막증은 발생 부위에 따라 요통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자궁 내막증의 정도와 통증의 정도는 별로 상관관계가 없다고 말할 수 있는데 복강경을 통해 살펴본 결과, 자궁 내막증이 매우 심한 환자였지만 그동안 아무 증상이 없었던 경우가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불임의 원인?
골반강 내에는 면역 작용을 주로 하는 대식 세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궁 내막증에 걸려 자궁 내막 세포가 골반강 내에 생기면, 이것을 정화하기 위해 대식 세포의 활동력이 왕성해지게 되며 활동력이 왕성해진 대식 세포는 복강내에 생긴 자궁 내막 세포뿐만 아니라 사정된 정자까지도 공격해서 불임을 야기 시키기도 합니다.
또 염증 반응이나 유착으로 인해 나팔관의 움직임이 제약을 받아 난소에서 난자가 배란되어도 정자와 만나기 어려운 경우도 생깁니다. 따라서 자궁내막증이 치료되면 임신율도 증가합니다.
그러나 자궁내막증과 자연 유산의 관계는 확실치 않으며 아직 연구 중에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의 치료
자궁내막증의 치료는 자궁내막증 제거를 위한 수술적치료가 원칙이며 심한 자궁내막증의 경우 수술 후 재발방지를 위해서 호르몬억제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합니다.